PRINCE2 What is PRINCE2

PRINCE2 (PRoject IN Controlled Environements)는 영국 정부부처인 OGC(TheOffice of Government Commerce)에 의해 제정된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Project Management Methodology)으로 현재는 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최고의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입니다. 영국정부의 투자회사인 AXELOS(www.axelos.com)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가 현재는 PEOPLECERT(www.peoplecert.org)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PRINCE2는 영연방국가 및 영국 문화권의 나라들(호주, 뉴질랜드, 남아공, 인도, 홍콩, 말레이시아등)와 유럽 전역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사업 관리 전문 방법론으로 채택되고 있습니다. AIG, Siemens,Barclay, Bank of England,Accenture, Deloitte, FC Chelsea, ING, TNT,Thomson,Tesco, Vodafone, Phillips, HSBC, GSK, BMW, Volkswagen,Volvo,Deloitte, Ernst Young, Goldman Sachs Group 등 유수의 기업들 및 UN, UNDP, UNOPS, NATO 등 특히 국제 기구 및 개발협력 분야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PRINCE2 방법론에 대해 이해하고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전문성을 평가하는 자격시험으로 PRINCE2 Foundation과 PRINCE2 Practitioner가 있습니다. Foundation은 PRINCE2에 대해 기본지식을 갖추고 있는지를 테스트하며 Practitioner는 PRINCE2 표준을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전문성을 평가합니다.
많은 기업들 및 국제 협력 분야에서 프로젝트 수행시 PRINCE2 전문가를요구하거나 사내 인력에 대해 PRINCE2 자격 취득을 필수로 지정하고 있으며, 협력 업체들의 사업관리 전문성을 검증하기위해 PRINCE2 자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History of PRINCE2 PRINCE2의 역사

1975년: PROMPT 방법론으로 부터 시작
PRINCE2의 근간은 1975년에 개발된 PROMPT(Projects Resource Organisation Management Planning Techniques)에서 시작됩니다. 이는 Impact Systems라는 회사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IT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주목받았습니다. PROMPT는 IT 프로젝트 관리의 각 단계를 세분화하고, 자원 관리와 프로젝트 계획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였습니다.
1980년대 초반: PROMPT의 공공 부문 도입
1980년대 초반, 영국 정부는 대형 IT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관리를 위해 PROMPT 방법론을 공식적으로 채택했습니다. 공공 부문의 IT 프로젝트 실패를 줄이기 위해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했으며, PROMPT는 영국 정부의 모든 정보통신 사업 관리에 의무적으로 사용되게 되었습니다.
1989년: PRINCE 탄생
PROMPT의 성공을 기반으로, 영국 정부의 중앙 컴퓨터 및 통신국(CCTA:Central Computer and Telecommunications Agency)은 1989년에 PRINCE(Projects in Controlled Environments)를 제정했습니다. PRINCE는 PROMPT의 핵심 원칙을 확장하여 개발되었으며, IT 프로젝트 관리에 중점을 두고 프로젝트 전체 수명 주기를 통제된 방식으로 관리하는 방법론을 구성했습니다. PRINCE는 특히 명확한 역할과 책임의 정의, 단계별 프로젝트 진행, 통제된 프로젝트 환경을 강조했습니다.
1996년: PRINCE2의 출범
PRINCE가 IT 프로젝트 외에도 다양한 산업의 프로젝트에 적용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1996년에 PRINCE2가 제정되었습니다. PRINCE2부터 더이상 IT 프로젝트만을 위한 것이 아닌 모든 산업의 프로젝트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확장되었습니다. 1996년 출간된 PRINCE2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 프로세스 기반 접근법 (Process-Based Approach): PRINCE2 1996 버전부터 명확하게 정의된 프로세스를 통해 프로젝트를 관리하도록 설계하였습니다. 이 프로세스는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종료까지 각 단계를 관리하며, 프로젝트의 모든 관리 활동을 구조화 하였습니다. PRINCE2의 프로세스는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며, 각 프로세스는 특정 입력(inputs)과 출력(outputs)을 가지는 형태로 정의했습니다.
- 구성 요소 (Components): PRINCE2 1996 버전에서는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관리되어야 하는 다음과 같은 8가지 구성 요소들을 제시했습니다. 비즈니스 케이스(Business Case), 조직(Organisation), 계획(Plans), 통제(Controls), 위험 관리(Management of Risk), 품질(Quality), 구성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 변경 통제(Change Control)가 이에 해당합니다.
- 유연한 적용 (Scalability and Flexibility): PRINCE2가 제정되면서 IT 프로젝트 뿐만 아니라 모든 산업의 다양한 프로젝트들에서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습니다. 프로젝트의 특성에 맞게 PRINCE2를 테일러링하여 사용할 수 있게 했으며, 정부 및 민간 부문에서 모두 사용가능한 구조를 제시했습니다.
- 역할과 책임 (Roles and Responsibilities): 임시 조직인 프로젝트의 특성 상 역할과 책임(R&R)에 대한 갈등이 심하기 때문에 PRINCE2 1996 버전부터 프로젝트는 명확하게 정의된 조직 구조와 역할을 가져야 함을 강조합니다. 모든 프로젝트에는 9개의 역할이 존재해야 하며 이들에 대한 명확한 책임이 정의되어야 합니다.
- 프로젝트 총괄(Executive): 프로젝트 보드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로, 비즈니스 케이스를 보증하고,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비즈니스적 타당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 사용자 대표(Senior User): 프로젝트의 산출물이 사용자 요구를 충족하는지 확인하며, 사용자 측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는 역할입니다.
- 공급자 대표(Senior Supplier): 공급자 측의 대표로, 프로젝트에 필요한 자원과 기술을 제공하고, 산출물의 품질을 보장하는 역할입니다.
- 프로젝트 관리자(Project Manager): 프로젝트의 일상적인 관리와 실행을 담당하며,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진행 상황을 감독하는 핵심 역할입니다.
- 팀 관리자(Team Manager): 프로젝트 관리자의 지시 아래 특정 작업 패키지의 실행을 책임지며, 팀의 실질적인 관리와 조정을 수행합니다.
- 프로젝트 보증(Project Assurance):프로젝트 보드를 대신해 프로젝트가 올바르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보증하는 역할을 하며, 품질, 사용자 요구, 공급자 입장 등을 평가합니다.
- 프로젝트 지원(Project Support):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관리적 및 기술적 지원을 제공하며, 프로젝트 문서화와 일정 관리 등을 지원합니다.
- 변경 권한자(Change Authority): 프로젝트에서 발생하는 변경 요청을 검토하고, 이를 승인하거나 거부할 권한을 가진 역할입니다.
- 프로젝트 위원회(Project Board):Executive, Senior User, Senior Supplier로 구성된 상위 의사결정 그룹으로,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주요 의사결정을 책임집니다.
- 관리의 단계적 접근 (Managing by Stages): 프로젝트를 여러 관리 단계(management stage)로 나누어 관리하며, 각 단계가 완료될 때마다 의사 결정을 통해 다음 단계로 진행할지 여부를 결정합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가 계획에 따라 적절히 진행되고 있는지 지속적으로 검토할 수 있습니다.
- 계획에 대한 중점 (Focus on Planning): 프로젝트의 계획과 관련된 체계와 공식적인 관리 산출물의 정의하였습니다. 이는 프로젝트가 명확한 목표, 일정, 예산, 그리고 자원을 기반으로 진행되도록 보장하며, 이를 통해 위험을 줄이고 프로젝트 성공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002년: PRINCE2 2002 Refresh
2002년 개정판은 PRINCE2: 2002 Refresh로 알려져 있으며, PRINCE2의 체계를 좀 더 실용적으로 다듬기 위한 수정 사항을 반영했습니다.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기존 프로세스 및 구성 요소의 정교화: 1996년 버전의 프로세스와 구성 요소가 더 명확하고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개편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품질 관리 및 위험 관리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관리 지침이 추가되었습니다.
- 비즈니스 케이스의 중요성 강조: 프로젝트 진행 중 비즈니스 타당성의 지속적인 검토가 더욱 강조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가 초기 계획과 적합한지 계속 확인할 수 있는 체계를 강화했습니다.
- 조직 구조의 세분화: 프로젝트 관리 팀의 역할과 책임이 명확해졌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정의된 역할들이 구체화되었습니다.
2005년: PRINCE2 2005 Refresh
2005년 개정판은 프로젝트 보증과 위험 관리 측면에서 중요한 변화가 있었습니다. 이 개정판은 사용자가 PRINCE2 방법론을 실무에서 좀 더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 위험 관리에 대한 새로운 지침: 프로젝트의 위험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절차가 추가되어, 위험을 보다 효과적으로 식별하고 분석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가 제시되었습니다.
- 프로젝트 보증 활동의 확대: 프로젝트 보증의 역할이 단순한 검토가 아닌 실질적인 검증 작업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프로젝트 진행 중 오류와 문제가 사전에 식별되고 교정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실제 적용 사례 강화: PRINCE2 사용자가 더욱 쉽게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산업에서의 적용 사례와 가이드라인이 추가되었습니다.
2009년: PRINCE2 2009 Refresh
2009년 개정판은 PRINCE2의 가장 큰 개정 중 하나로, PRINCE2: 2009 Refresh라는 이름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이 개정판에서는 방법론 자체가 큰 변화를 맞이했으며, PRINCE2가 모든 산업과 프로젝트 규모에 쉽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PRINCE2 2009 개정의 주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7가지 원칙 도입: 처음으로 PRINCE2의 7가지 원칙이 도입되었으며, 이 원칙은 PRINCE2 프로젝트 관리 방식의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았습니다. 이 원칙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비즈니스 정당성 유지 (Continued Business Justification)
- 경험을 통한 학습 (Learn from Experience)
- 명확한 역할과 책임 (Defined Roles and Responsibilities)
- 단계별 관리 (Manage by Stages)
- 예외 관리 (Manage by Exception)
- 제품 중심 (Focus on Products)
- 프로젝트 환경에 맞춘 테일러링 (Tailor to Suit the Project Environment)
- 프로세스 간소화 및 통합: 2009 개정판에서는 PRINCE2의 복잡한 프로세스들이 좀 더 간소화되었습니다. 기존 프로세스들이 더 직관적이고 사용자 친화적으로 재설계되었으며, 명확한 입력(inputs)과 출력(outputs)을 정의하여 실무에서의 사용이 더 쉬워졌습니다.
- 역할과 책임의 명확화: 프로젝트 관리 팀의 역할과 책임이 더욱 명확하게 규정되었습니다. 특히 조직 내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어떤 책임을 지는지, 어떻게 협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이 강화되었습니다.
- 기술과 구성 요소 업데이트: PRINCE2의 구성 요소들이 최신 프로젝트 관리 도구와 기술에 맞게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변화 관리(Change Control)와 구성 관리(Configuration Management)에 대한 새로운 지침과 절차가 추가되었습니다.
- 유연한 적용: PRINCE2 2009 버전은 다양한 산업과 프로젝트 환경에 맞추어 더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규모와 복잡도에 맞게 PRINCE2를 맞춤형으로 적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했습니다.
2010년대: PRINCE2의 글로벌 표준화
2010년대에 PRINCE2는 전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며 글로벌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많은 국가에서 PRINCE2 자격 인증이 제공되었으며, 프로젝트 관리 분야의 #1 글로벌 표준으로 인정받게 되었습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 방법론을 사용하여 프로젝트의 효율성과 성공률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
2017년: PRINCE2의 최신 개정 및 애자일 통합
2017년의 PRINCE2 개정판에서는 최신 프로젝트 관리 트렌드를 반영하고, 애자일(Agile) 방법론과의 통합이 강조되었습니다. PRINCE2와 애자일의 통합은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민첩하게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하면서도, PRINCE2의 체계적이고 구조적인 접근 방식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PRINCE2 6th edition에 해당하는 2017 버전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실무 적용성 강화: PRINCE2 2017 개정판의 가장 큰 변화는 실무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였습니다. PRINCE2가 모든 프로젝트에 일관되게 적용되기보다는, 프로젝트의 특성에 맞게 PRINCE2의 구성 요소와 프로세스를 테일러링(tailoring)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프로세스 간소화 및 명확화: PRINCE2 2017 개정판은 프로세스의 복잡성을 줄이고, 더 직관적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반영되었습니다. 기존의 복잡한 프로세스 및 문서 작업은 좀 더 간소화되었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제공되었습니다. 프로젝트의 각 단계에서 필요한 활동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어떤 시점에서 어떤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강화되었습니다.
- 비즈니스 케이스와 위험 관리의 강화: 2017 개정판에서는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동안 비즈니스 케이스의 지속적인 검토와 위험 관리를 강조했습니다. 비즈니스 케이스의 타당성은 프로젝트의 모든 단계에서 주기적으로 검토되고, 이를 통해 프로젝트가 계속해서 비즈니스 목표를 충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강화했습니다.
- 프로젝트 성과 관리의 유연성: PRINCE2 2017 개정판은 성과 지표와 목표 설정에 있어서 유연성을 제공했습니다. 프로젝트 성과를 측정하고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실무적인 유연성을 적용할 수 있도록 권장하며, 각 프로젝트의 특성에 맞춘 평가 지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디지털 시대에 맞춘 적용: PRINCE2 2017 개정판은 디지털 혁신과 애자일(Agile) 방식의 프로젝트 관리 흐름을 반영하려는 노력을 보여줍니다.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과의 연계성을 고려하면서, PRINCE2가 다양한 프로젝트 관리 환경에 맞게 적용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부여했습니다.
2023년: PRINCE2 7 출범
2023년에 발표된 PRINCE2 7은 PRINCE2 방법론의 가장 최신 개정판으로, 이전 버전보다 더 유연하고 현대적인 프로젝트 관리 접근 방식을 제공합니다. PRINCE2 7은 다음과 같은 주요 변화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사람 중심의 프로젝트 관리: PRINCE2 7은 사람 중심 접근을 강화하여, 프로젝트 팀과 이해관계자의 관리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내에서 사람 간의 상호작용, 커뮤니케이션, 협력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었습니다.
- 디지털 환경과의 통합: PRINCE2 7은 디지털 혁신과 변화에 대응하는 프로젝트 관리 기법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도구와 데이터 기반의 의사 결정이 프로젝트 관리에서 어떻게 통합되고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침이 추가되었습니다.
- 애자일 프레임워크의 더욱 깊은 통합: PRINCE2 7은 애자일 프로젝트 관리 프레임워크와의 통합을 더욱 강화하여, 애자일 방법론의 유연성을 보다 심도 있게 적용할 수 있도록 발전했습니다.
- 단순화된 접근법: PRINCE2 7은 복잡한 프로젝트 관리 프레임워크를 단순화하여 더 많은 조직에서 쉽게 채택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특히 중소 규모의 프로젝트에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재구성되었습니다.
- 지속 가능성 및 사회적 책임: 지속 가능성과 프로젝트 관리에서의 환경적,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이 PRINCE2 7에서 크게 반영되었습니다. 이는 조직이 환경적 영향을 고려한 프로젝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PRINCE2 7은 기존 방법론의 강점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이고 유연한 프로젝트 관리 방식을 제공하며, 다양한 프로젝트 환경에서 더욱 적합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